UN-SDGs(지속가능발전목표) 13번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대처하는 긴급행동 시행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국가에서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 재해에 대한 적응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 정책, 전략, 계획과 기후변화 대응방안 통합 등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및 조기 경보에 관한 교육, 인식 증진, 인적 및 제도적 역량 증진을 포함합니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 상당의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하기로 한 약속을 이행하고 녹색기후기금의 재원 운용, 최빈국에서의 기후변화 관련 계획 및 관리의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구조 강화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 13.1 - 모든 국가에서 기후관련 위험 및 자연 재해에 대한 복원력과 적응력을 강화한다.
- 13.2 - 기후변화에 대한 조치를 국가 정책, 전략, 계획에 통합한다.
- 13.3 -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 13.a - 기후변화 완화 조치와 이행의 투명성에 관한 개발도상국의 요구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의 선진 당사국이 공동으로 매년 1,000억 달러를 동원하겠다는 목표를 2020년까지 이행하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출자를 통해 녹색기후기금(GCF)의 완전한 운용을 시작한다.
- 13.b - 여성, 청년, 지역 공동체 및 소외된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포함해 최빈국과 군소도서개발국에서 기후변화 관련 효과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한 역량 계발 메커니즘을 증진한다.
13.1
모든 국가에서 기후관련 위험 및 자연 재해에 대한 복원력과 적응력을 강화한다.
SDGs 세부목표 13.1은 기후관련 위험 및 자연 재해에 대한 모든 국가의 복원력 및 적응력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기후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심은 국제기상기구(IMO)의 국제기상학 연구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 재해가 스톡홀름 선언(1972)에서 언급된 이후, 유엔총회(1989)에서는 자연재해감소를 위한 10년(1990-2000)을 지정하여, 주요 목표 달성에 관한 연례 보고와 자연재해 감소를 위한 10개년 프레임워크 도입을 명시하였습니다. 유엔환경개발회의(1992)에서 채택한 의제 21에서 자연재해의 도시 생산성 저하, 경제활동의 파괴, 인구감소를 인지하고 세계자연재해감소 회의(1994)에서는 2000년 이후의 자연재해 및 위험감소 전략 수립을 위해 더 안전한 세계를 위한 요코하마 전략 및 행동계획을 선언했습니다. 효고 행동 프레임워크(2005-2015)에 이어 채택한 센다이 방재 프레임워크(2016-2030)를 통해 SDGs에서도 재해경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목록으로↑]
- 지표 1 : 국가적인 그리고 지역적인 재난위험 감축전략이 있는 국가의 수
- 지표 2 : 인구 100,000명 당 재난으로 인해 사망, 실종 그리고 피해를 입은 인구 수
13.2
기후변화에 대한 조치를 국가 정책, 전략, 계획에 통합한다.
SDGs 세부목표 13.2는 기후변화에 대한 조치를 국가 정책, 전략, 계획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세계기상기구(WMO)가 주최한 제1차 세계기후회의(1979)에서는 기후가 인간의 삶과 모든 활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인지하고 기후에 관한 인간의 지식을 적극 활용하고, 증대하며, 인류에게 끼치는 부정적 영향을 예견, 예방하도록 요청하였습니다. 스톡홀름 선언(1972)에서도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언급하면서, WMO와 유엔환경계획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PCC, 1988)을 발족하여 세계기후프로그램의 과학연구를 담당하고 제2차 세계기후회의(1990)에서 그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IPCC와 기후변화협약에 관한 국제협상위원회(International Negotiation Committee)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의 개념과 이에 대한 전략을 국가발전 프로그램에 통합해야 한다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1992)이 유엔에서 채택되었습니다. SDGs도 동 협약을 반영하였습니다. [목록으로↑]
- 지표 1 : 식량 생산을 위협하지 않는 방법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기후 회복력을 기르며,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적응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통합된 정책 전략계획의 수립과 운용을 홍보하는 국가의 수 (국가 적응계획, 국가적으로 결정된 분담, 국가차원의 홍보, 격년별로 갱신되는 보고서 등)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SDGs 세부목표 13.3은 기후변화 완화 및 조기경보에 관한 인적,제도적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유엔총회에서 채택한 기후변화협약(UNFCCC, 1992) 제6항에서는 동 협약에 참여하는 당사국이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개발,이행하며 기후 변화에 관한 대중 인식 제고 및 훈련과 교육 분야에서의 협력을 권고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에 관한 회의(2009)에서 본 선언(Bohn Declaration)을 채택하여 기후변화 교육(CCE) 이니셔티브를 발족하고, 기후변화교육을 통해 대중의 인식제고를 추진했습니다.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한 파리기후협약에서는 기후적응행동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고 조기 경보 시스템과 기상관측 시스템을 강화하는 칸쿤기후적응 프레임워크(Cancun Adaptation Framework)를 발족하여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SDGs에서도 이 같은 노력에 이어 기후변화를 위한 역량 강화를 추진합니다. [목록으로↑]
- 지표 1 :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를 1차, 2차, 3차 교육과정에 포함시킨 국가들의 수
- 지표 2 : 적응, 완화, 그리고 기술 이전 및 개발 이행을 위한 기관, 체계, 그리고 개인적인 역량 강화를 홍보한 국가의 수
13.a
기후변화 완화 조치와 이행의 투명성에 관한 개발도상국의 요구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의 선진 당사국이 공동으로 매년 1,000억 달러를 동원하겠다는 목표를 2020년까지 이행하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출자를 통해 녹색기후기금(GCF)의 완전한 운용을 시작한다.
SDGs 세부목표 13.a는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공동 자금 동원 및 녹색기후기금(GCF)의 완전한 운용을 목표로 합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기후적응 조치를 시행하여 개도국의 취약성을 감소시키고 회복력을 구축하여, 본 협약의 이행을 위한 조치강화와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개도국의 협약 준수를 위한 비용 부담을 덜기위해 선진 당사국의 추가적인 재원 제공을 명시하고, 가장 취약한 개도국 대상 기후변화 적응 기금의 운용 계획을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의미 있는 기후변화 완화 조치와 이행 투명성을 위해 2020년까지 선진 당사국이 매년 1,000억 달러를 공동으로 동원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를 보장했습니다. 아울러, 개도국의 기후변화 완화 관련 프로젝트, 프로그램, 정책 및 기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본 기금의 상당 부분을 GCF에서 사용할 것을 결의했습니다. [목록으로↑]
- 지표 1 : 약속된 1천 억달러 투입에 대해 2020년부터 실제 동원되는 연도별 금액
13.b
여성, 청년, 지역 공동체 및 소외된 공동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포함해 최빈국과 군소도서개발국에서 기후변화 관련 효과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한 역량 계발 메커니즘을 증진한다.
SDGs 세부목표 13.b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효과적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역량 계발 메커니즘 증진을 목표로 합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우려를 해소하고 구체적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재정 지원, 기술 이전 등 필요한 조치를 충분히 고려하도록 촉구했습니다. 이에 유엔개발계획(UNDP)은 최빈국을 위한 회복력 및 기후변화 적응 역량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과 이니셔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엔에서는 영양식 및 깨끗한 식수의 이용가능성 감소, 생태계 파괴, 생활 환경의 불안정화를 초래하는 기후변화에 특히 청년층을 비롯해 천연 자원에 생계를 의존하고 있는 여성들이 취약함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관련 행동 계획 및 기타 조치 등 국가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이를 고려하도록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목록으로↑]
- 지표 1 : 여성, 청소년, 및 지역 및 소외 공동체에 초점을 두는 것을 포함하여, 효과적인 기후변화 관련 계획, 관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메커니즘 개발을 위해 금융 및 기술 지원 등 특별한 지원을 받고 있는 최빈 개도국과 군소 도서개도국의 수
세부목표 내용과 이미지 출처는 슬로워크 CC BY-SA 4.0 입니다.
지표(인디케이터) 해석의 출처는 환경부에서 발간한 자료 입니다.
세부목표 중 숫자는 실현해야할 결과(Outcome)에 가깝고 알파벳은 이를 위한 이행 수단(Means of Implementation)에 가깝습니다.
댓글